본문 바로가기
출산

임신 중 딸꾹질, 태아 딸꾹질 원인 & 태아 딸꾹질 멈추는 방법, 임산부 딸꾹질

by 초보99 2023. 1. 8.
반응형

뱃속의 태아가 딸꾹질을 너무 자주합니다!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결과부터 말씀드리자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제 경우에는 임신 중기가 넘어갈 때 움직임에 의한 태동보다

딸꾹질로 느껴지는 태동을 더 자주 느꼈답니다. 

 

출처 : 언스플래쉬(Unsplash)

 

 

보통 임신 중기 이후에 많이 관찰되고

임신 24주~28주부터 느낄 수 있습니다.

태아는 하루 평균 3~5회정도 7~8분간 딸꾹질을 합니다.

 

움직임에 의한 태동에 비해 규칙적인 속도로

배를 톡톡 두드리는 느낌이랍니다.

임신 말기로 가면 빈도가 줄어드는 편입니다.

저의 경우엔 만삭 때도 아기가 딸꾹질을 했습니다.

(빠지지 않는 애바애, 사바사)

 

※ 갑작스럽게 태동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때는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딸꾹질은 왜 발생하게 될까요?

출처 : 언스플래쉬(Unsplash)

가장 흔히 알려진 원인은 1) 위가 팽창되었을 때

2) 호흡을할 때 쓰는 횡격막 근육이 자극 받았을 때 입니다.

 

태아의 경우, 양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횡격막이 수축될 수 있고,

손가락을 빨거나 하품을 할 때도 딸꾹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여담으로 과식을 하거나 과한 운동을 할 경우

모체(엄마)의 딸꾹질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태아의 호흡운동이나 수면은 모체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모체(엄마)의 딸꾹질때문에 아이가 딸꾹질을 하진 않는답니다.

 

 

딸꾹질을 멈추는 방법이 있을까요?

 

출처 : 언스플래쉬(Unsplash)

아쉽게도 태아의 딸꾹질을 멈추게 하거나

줄이는 방법은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아이가 힘들진 않을까 걱정하실 필요 없답니다.

성인과는 달리 태아는 실제로 공기로 호흡하는 것이 아닌

태반과 연결된 탯줄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딸꾹질을 한다고 숨을 제대로 못 쉬지 않습니다.

 


 

 

태아의 딸꾹질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랍니다.

딸꾹질 역시 태동으로 간주되고,

딸꾹질을 포함한 태동의 횟수가 오히려 중요합니다.

 

태아가 건강한 상태라면,

임신 후기에는 2시간동안 10회 정도 태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태동이 줄거나, 평소에 비해 태동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면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