칵테일파티 효과란 무엇인가
칵테일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는 파티의 참석자들이 시끄러운 주변 소음이 있는 방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화자와의 이야기를 선택적으로 집중하여 잘 받아들이는 현상에서 발생한 개념이다. 칵테일파티와 같이 많은 사람이 모여서 이야기를 할 때 우리의 감각기관에는 어마어마한 양의 정보가 들어온다. 하지만 사람은 이 많은 정보를 다 받아들이지는 못하고 우리가 듣고 싶은 내용의 한 가지 대화만을 집중해서 듣게 되고 나머지 소리는 잡음(일종의 배경)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우리가 잡음으로 처리하는 말소리 중에 자신이 생각하고 있던 주제나 또는 자신의 이름이 언급되는 경우 그 대화를 인지하게 되고 그 대화를 의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와 같이 주변 환경에 개의치 않고 자신에게 의미 있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선택적 지각(selective perception)’ 또는 ‘선택적 주의’라고 하는데, 이런 선택적 지각이나 주의가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을 일컫는다. ‘자기 관련 효과(self-referential effect)’, 연회장 효과, 잔칫집 효과 라고도 한다. 칵테일파티 효과는 콜린 체리(E.C. Cherry)를 통해 처음으로 알려졌다. 사실 이 효과에 관한 대부분의 초기 연구들은 파티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실시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초기 항공관제사의 직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 당시 항공관제사들은 조종사로부터 오는 메시지를 확성기를 통해 들었는데 항공관제사들이 직무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어려웠다. 만약 많은 조종사들이 가까이 있을 경우 그들의 목소리를 하나의 중앙 확성기를 통하여 들어야만 하였기 때문이다. 2012년 5월, 미국 연구팀은 칵테일파티 효과가 두뇌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를 과학적으로 입증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 실험에서 실험자가 여러 음성 중에서 단 하나의 음성에 반응하는 것이 두뇌 스펙트럼 사진을 통해 관찰된 것이다.
칵테일파티 효과의 원리
‘칵테일파티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아무리 다양한 목소리나 음성이 귀를 통해 들어와도 사람의 뇌는 그중 한 목소리만 골라서 처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연구팀은 두 가지 목소리를 동시에 듣고 있는 사람의 두뇌 움직임을 조사했다. 그 결과 특정 음성 주파수에만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뉴런(neuron) 그룹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두뇌의 움직임을 스펙트럼 사진(spectrogram)으로 바꾸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도 수집했다. 이런 베이스 데이터들로부터 해당 연구팀은 사람이 특정 단어를 듣게 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원자들에게서 칵테일파티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들에게 자원한 이들은 3명의 간질 환자였는데 환자들에게 남녀 두 사람이 서로 다른 문장을 동시에 말하는 것을 녹음해 들려줬다. 그리고 말 중에 어떤 특정 단어가 나오면 그때부터 그 사람 목소리에만 집중하라고 했다. 실험에 참가한 환자들은 처음에는 남녀 중 어느 한 사람의 목소리만 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대상은 각기 환자마다 달랐다. 그런데 특정 단어가 나온 후부터는 일제히 그 단어를 말한 사람의 목소리만 뇌에서 처리했다. '사람은 듣고 싶은 말만 듣는다'는 말이 사실로 입증된 것이다. 요약하자면 우리가 듣는 소리의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연산은 여러 목소리 중 특정 주파수에만 반응하여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관련 사례를 통한 칵테일파티 효과
1. 시끄럽고 복잡한 소리가 들리는 거리를 걷고 있어도 동전이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는 이유도 칵테일파티 효과 때문이다.
2.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예습의 중요성을 ‘칵테일파티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칵테일파티 효과를 통해 우리가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북적거리는 칵테일 파티장에서 내 귀에 들리는 소리는 내가 잘 아는 말, 관심 갖는 소리이다. 수업을 듣기 전 예습을 통해 내가 아는 내용과 궁금점을 미리 발췌하여 사전 준비를 한다면, 내가 아는 내용은 수업시간에도 잘 들려 집중할 수 있다. 그렇다고 예습 단계에서 완벽하게 알아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예습을 지나치게 철저히 하면 지치고 힘들어 중도에 포기하고 만다. 학생들 중에는 이미 알고 있는 것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예습은 맛보기로 족하다. 미리 배울 단원을 읽어 보면서 아는 것과 모르는 것으로 구분만 하는 것이 예습이다. 자기가 모르는 내용을 미리 체크해서 이것만은 수업시간에 이해해야겠다는 자세로 예습을 하면 된다.
3. 미아 찾기나, 할인행사, 이벤트 등 고객들에게 알려주는 안내 방송을 할 때 ‘칵테일파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
4. 주의집중장애 (ADD/ADHD)와 자폐증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끄럽고 여러 가지 대화가 오고 가는 장소에서 하나의 대화에 집중하고 이해하는 능력은 중요한 사교 능력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정보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드 웨건 효과(편승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06 |
---|---|
후광 효과: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0) | 2023.03.06 |
피그말리온 효과: 교육 심리학 (0) | 2023.03.06 |
초두 효과: 첫 인상의 심리학 (0) | 2023.03.06 |
깨진 유리창의 법칙: 작은 변화가 주는 의미 (0) | 2023.03.06 |
댓글